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14)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가입자 모집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가입자 모집이 다음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 '23.5.1.(월)~'23.5.26.(금) * 아래와 같이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시작은 2주간(5.1~5.12) 출생일 기준 5부제를 적용합니다. · 월요일(5월 1,8일) : 출생일 끝자리가 1,6 · 화요일(5월 2,9일) : 출생일 끝자리가 2,7 · 수요일(5월 3,10일) : 출생일 끝자리가 3,8 · 목요일(5월 4,11일) : 출생일 끝자리가 4,9 · 금요일(5월 12일) : 출생일 끝자리가 5,0 ○ 복지로 온라인 신청 : '23.5.15.(월)~'23.5.26.(금), 온라인 신청은 5부제 미시행 예정입니다. 온라인 신청주소 https://www.bokjiro.go.kr/ssis-..
청년마음건강지원 서비스 지치고, 힘들고, 마음이 아파 힘들어 하고 있다면, 지금 '청년마음건강지원 서비스’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 청년마음건강지원 서비스란?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의 청년을 대상으로 3개월(10회) 간 1:1 전문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지원요건 만 19세 ~ 34세 청년(소득.재산 무관) (자립준비 청년,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연계한 청년은 우선 지원 대상) ■ 지원내용 사전·사후검사 + 전문심리상담 3개월(10회) 실시 (재판정을 통해 최대 1년 이내 연장 가능) 서비스 종류 서비스 내용 제공시간 제공횟수 사전·사후 검사 개인 심리상담 관련 필요한 검사를 통한 주된 문제 및 욕구 파악 90분 사전·사후 각 1회 서비스 제공 (1:1 원칙) 대상자 욕구에 맞춘 서비스 제공 - 심리정서문제(우..
2023년 치매정책 사업안내 pdf 2023년 치매정책 사업안내 pdf 다운로드 : https://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5900&CONT_SEQ=374903&FILE_SEQ=355435 미리보기 :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675736482885_20230207112125.pdf&rs=/upload/viewer/result/202302/ 목차 Ⅰ 치매관리사업의 현황 / 1 Ⅰ-1. 치매관리사업의 개요 ······················································3 Ⅰ-2. 치매관리전달체계 ···········································..
2023년 아동수당 사업안내 1. 목적 (법 제1조) ● 아동에게 아동수당을 지급하여 아동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건강한 성장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를 증진 2. 지급대상 (법 제4조) (1) 연령 요건 ● 만 8세 미만의 아동 (0 ~ 95개월) -만 8세 생일이 도래하는 달의 전 달까지 최대 96개월 간 지급 - 취학여부와 관계없이 지급 (2) 국적 및 주민등록 요건: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아동 * 부모가 모두 외국인이라도, 아동이 한국 국적이면 요건 충족 「국적법」에 따른 복수국적자 포함 - 「난민법」에 따른 난민인정자 포함 * 단, 난민인정 신청에 대한 심사 진행 중인 경우 등은 제외 -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에 따른 ‘특별기여자’ 「주민등록법」에 따른 주민등록번호가 정상적으로 부여된 아..
2022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주요변경 사항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의 의의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란 소득이 저소득층이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받도록 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입니다(「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1조). 국민기초생활급여의 종류 및 내용 국민기초생활급여의 종류 및 내용을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생계급여 옷, 음식비, 연료비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생계비용을 지원 주거급여 집을 빌리는 비용과 집을 수리하는 비용을 지원 교육급여 중·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 입학금, 수업료, 학용품비, 교과서대 등을 지원 해산급여 출산했을 때 출산 전후 관련 비용을 지원 장제급여 가족이 사망했을 때, 필요한 비용을 지원 의료급여 대상자가 되면,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기관을 이용 출처:「행복한 한국생활 도우미」(보건복지가족부..
청년저축계좌 알아보기 청년저축계좌제도가 새로 2020년 4월부터 시행됩니다. 내용을 알아보아요! ㅁ관련자료 (지침)는 아래에서 다운 받으시고요~ □ 청년저축계좌 제도란? - 15세이상 39세이하 기준중위소득50%이하 지원대상 적합자가 매월 10만원씩 3년 가입하고 국가자격증 1개이상 취득하면, 본인이 저축한 금액 360만원에 근로소득장려금1,080만원+이자까지 총1,440만원+α을 받게 되는 계좌(통장)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지원대상 ① (소득기준)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교육급여 수급 가구 또는 차상위* 가구의 청년(만15세 이상 39세이하**) 이면 가능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동일가구 기준 적용(생계・의료수급 가구의 별도가구 특례인정 불가) * 현재 법정 차상위자로 관리되는 대상이 아니어도 ..
2020년 경기도형 긴급복지 지원 사업 안내입니다. 가. 주소득자가 사망, 가출, 행불, 군입대, 구금 등으로 생계가 곤란하게 된 때 나.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때 다.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유기·학대·가정폭력·성폭력 등을 당한 때 라. 화재, 자연재해, 경매·공매, 월세체납으로 인한 강제 퇴거 등으로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때 마. 주소득자와 이혼으로 생계가 곤란하게 된 때 바. 실직, 사업실패(휴·폐업)로 소득을 상실하여 생계가 곤란하게 된 때 사. 시설 퇴소아동 아. 그 밖에 시장·군수가 위기상황이라고 인정한 때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90% 이하 (단위 : 원)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757,194 2,991,980 3,870,577 4,74..
2019년 사회복지 사업안내 지침 모음(보건복지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