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56)
신종 코로나 가짜뉴스에 이어 '가짜논문'까지…과학자들 반박[출처: 중앙일보] 신종 코로나 가짜뉴스에 이어 '가짜논문'까지…과학자들 반박 '인포데믹(infodemic)'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한 정보 범람으로, 대중이 괴담과 사실을 분간하기 어려운 상태라는 우려를 표하며 내놓은 단어다. 영어 단어 ‘인포메이션(informationㆍ정보)’과 ‘에피데믹(epidemicㆍ감염병 확산)’을 합친 것으로, ‘정보감염증’을 뜻한다. 그간 국내에도 각종 가짜뉴스가 나왔는데, 심지어 최근엔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중국이 에이즈ㆍ코로나 바이러스 등으로 생화학 무기를 개발하다 신종 코로나 사태가 난 것”이라는 괴담도 생겨났다. 이런 가짜 뉴스에 이어 ‘가짜 논문’까지 등장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알카이브(bioRxiv)에는 신종 코로나의 유전자 일부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발생 현황 2월 4일 14시, 2보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년 2월 4일 오전 10시 현재, 총 607명의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금일 추가 확진된 1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16명 확진, 462명 검사 음성으로 격리해제, 129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임상증상, 여행력, 검사결과를 종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로 확진된 자 임상증상, 여행력 등을 고려하여 격리조치 및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유증상자 (의사환자를 포함) 현재 16번째 환자는 전남대병원에 격리조치 되었고 역학조사가 진행중이며, 기존 확진환자들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 확..
장애인연금, 저소득 중증장애인 16만1000명에게 4월부터 30만 원으로 기초급여액 인상 장애인연금, 저소득 중증장애인 16만1000명에게 4월부터 30만 원으로 기초급여액 인상 - ’19년 장애인연금 선정기준액 121만 원에서 122만 원으로 상향조정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장애인연금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18.12.27)함에 따라, ‘19년 4월부터 장애인연금 수급자 중 생활이 보다 어려운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급여수급자)의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을 30만 원(현행 25만 원)으로 인상하여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부가급여」 기초급여 : 근로능력의 상실로 인한 소득감소를 보전하기 위한 급여 부가급여 : 장애로 인한 추가 비용 보전을 위한 급여 중증장애인의 소득 보장을 위해 지난해 9월 기초급여액을 25만 원으로 인상(20만9000원→..
어르신 기초연금 수급 비율 확대되었습니다 올해부터 기초연금 30만원을 받는 어르신 비율을 소득 하위 20%에서 40%로 확대되었습니다. 국민연금공단 양산지사(지사장 이재용)는 지난 9일 “최근 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올해부터 소득 하위 40%에 속하는 어르신 325만여명이 월 최대 30만원의 기초연금을 받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보다 162만여명의 어르신이 월 최대 5만원가량 연금을 더 받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소득 하위 40%는 단독가구 기준 38만원, 부부 기준 60만8천원이다. 소득 하위 40%에 속하지 않는 경우 최대 연금 수급액은 월 25만4천760원입니다. 더불어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해 연금액 조정도 4월에서 1월로 변경했습니다. 해마다 1월 연금액을 조정하고 있는 국민연금이나 직역연금과 달리 그동안 기초..
복지제도가 복잡하다고요? 당신이 알아야 할 ‘복지서비스’ “정말 감사합니다” 식당을 운영하는 김길수씨(68.가명)은 얼마전 지적 장애인 동생이 병원에 입원하여 뇌수술을 했는데 병원비로 걱정이 많았다. 그런데 면사무소 복지팀에 긴급의료비를 신청하여 지원이 가능하다는 회신을 받았다 요즘 뉴스를 보면 복지제도가 이것저것 생기고, 또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일반 주민들은 잘 체감을 하지 못하고 있다. 서종면민들이 더 적극적으로 이용할 복지서비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편한 복지상담 방법부터 즉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요금감면까지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알아보았다. ◇ 복지 지원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 국번없이 129 희망의 전화 보건복지상담센터 http://www.129.go.kr/ 정말 많은 복지서비스가 있는데 나에게 맞는 복지 혜택을 쉽게 상담 받을..
일명 우한 폐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가장 정확한 정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가장 정확한 정보는 공식 채널에서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www.mohw.go.kr 페이스북 www.facebook.com/mohwpr 유튜브 www.youtube.com/user/mohwpr ◆ 질병관리본부ㆍ1339 홈페이지 www.cdc.go.kr 페이스북 www.facebook.com/koreacdcpr 유튜브 www.youtube.com/channel/UCa7-3Zvxg-5Rfxgu3RQY_gw ◆ 대한민국 정부 페이스북 www.facebook.com/hipolicy 유튜브 www.youtube.com/user/hipolicy
2020년도 복지사업 안내 모음(소장용) https://goznuki.tistory.com/45 에서 10메가 이하만 모음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15일 개통…꼼꼼히 살펴보세요 근로자의 연말정산을 돕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오는 15일 오전 8시 시작된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국세청이 소득·세액 공제 증명에 필요한 자료를 병원·은행 등 17만개 영수증 발급기관으로부터 직접 수집해 근로자에게 홈택스(www.hometax.go.kr)와 손택스(모바일 홈택스)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서울 종로세무서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연말정산 안내책자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9일 국세청에 따르면 근로자는 15일부터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접속해 소득·세액공제 자료를 조회할 수 있다. 18일 이후에는 공제신고서 작성, 공제자료 간편제출, 예상세액 계산 등도 할 수 있다. 올해 간소화 서비스는 산후조리원 비용(의료비 세액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