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41)
삶지 않고 희게 세탁하려면 삶지 않고 희게 세탁하려면 세탁할 옷에 가루비누를 칠한 뒤 투명한 비닐봉지에 넣어 햇볕에 20~30분 정도 놓아두었다가 빨면 삶지 않고도 삶은 것처럼 희고 깨끗해진다.
낡은 와이셔츠를 활용하려면 가죽 옷이나 모직 옷 등은 세탁소에서 올 때 비닐에 덮여 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 상태로 보관해 놓으면 옷감이 숨을 쉴 수도 없고 장마철엔 더욱 좋지 않다. 이럴 땐 보관하는 옷에 비닐 대신 와이셔츠를 뒤집어 씌어놓아 보자. 잘 다려서 한 구석에 씌어 놓으면 그리 흉하지도 않을 뿐더러 옷감도 상하지 않게 잘 보관할 수 있다.
와이셔츠에 묻은 김칫국물을 제거하려면 하얀 와이셔츠에 김칫국물이 묻으면 잘 지워지지 않아 낭패를 보기 쉬운데, 양파를 이용하면 쉽게 국물 자국을 뺄 수 있다. 우선 김칫국물이 묻은 자리를 물에 담가 국물을 가능한 만큼 지운 다음, 양파를 잘게 썰어 즙이 나오도록 다져서 이 즙을 자국이 난 자리 앞뒤에 골고루 펴서 바른다. 그 상태에서 하룻밤을 재운 후에 비누로 빨면 말끔하게 없어진다.
와이셔츠를 하루 더 입으려면 와이셔츠는 보통 한 번 입고 빨게 되는데 자세히 보면 목 주위만 더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루 이상 입고 싶다면 식빵으로 문질러서 때를 빼보자. 깨끗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이미 세탁이 된 와이셔츠라면 목이나 소매 부분에 파우더를 미리 뿌려두면 평소처럼 때가 찌들지 않고 툭툭 파우더를 털어주기만 해도 때가 제거돼 세탁이 훨씬 편리하다.
블라우스나 와이셔츠의 찌든 때를 없애려면 와이셔츠 깃과 소매 부분에 낀 때가 잘 안 벗겨질 때는 샴푸를 이용해 보자. 따뜻한 물에 때를 불렸다가 샴푸를 적당히 짜서 살살 비벼 빨면 쉽게 빠진다. 샴푸에 지방분해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블라우스나 모자를 세탁할 때도 효과적이며 남성용 면도 크림을 이용해도 때가 깨끗이 빠진다. 고무장갑을 끼고 과탄산소다로 2차 빨래도 해도 효과적이다
다림질하다 눌옷을 세탁하려면 흰옷을 다리다 잘못해서 눌었을 때는 과산화수소를 더운 물에 30% 정도의 비율로 풀어서 그 물로 여러 번 닦아낸다음 맑은 물로 헹궈내면 말끔해진다. 또는 양파를 잘라서 문지른 다음 차가운 물에 흔들어 씻어도 좋다.
다림질을 잘하려면 옷을 다리다 보면 다리미 바닥이 누렇게 눌어붙고 옷을 망칠 때도 있다. 눌어붙는 것을 예방하려면 분무기로 물을 충분히 뿌리고 옷의 소재에 맞게 온도를 맞춘다. 다리미 바닥은 소금이나 아세톤으로 닦아 낸다. 화학섬유가 눌어붙었을 때는 신문지에 굵은 소금을 깔고 다리미를 조금 달군 뒤 바닥을 소금에 문지르면 깨끗해진다. 그 밖의 이물질은 솜에 아세톤을 묻혀 닦아 낸다. 흰 옷이 다림질 중 눌면 더운 물에 과산화수소를 30% 비율로 타서 여러 번 닦아낸 뒤 헹구어 낸다.
수영복 보관 요령의 모든 것 수영복 보관 요령의 모든 것 • 젖은 상태로 오랜 시간 보관하지 않는다. 수영 후 젖은 상태로 오랫동안 놓아두면 탈색이 될 수 있다. 특히 승용차트렁크에 오래 보관할 경우에는 복사열에 의해 탈색될 수 있으므로 꼭 짠 후 물기가 없는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 소독약물을 뺀다. 실내수영장에서 사용하는 소독약은 원단 손상의 원인이 되므로 사용 후에는 샤워실에서 수영장물을 깨끗하게 빼낸 후 손으로 가볍게 짠 다음 마른 수건으로 싸 가는 것이 좋다. • 미끄럼 탈 때 마찰에 주의한다. 수영복 원단은 마찰에 약하므로 미끄럼을 탈 때 유의한다. 원단손상 방지를 위해 미끄럼틀을 탈 경우 수영복 위에 반바지를 겹쳐 입는 것이 좋다. • 오일이 닿지 않게 한다. 선탠할 때 바르는 선 오일 등의 유성물질은 원단의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