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교육급여 인상
○ 교육급여는 2025년 교육활동지원비를 연간 초등학교 48만 7,000원, 중학교 67만 9,000원, 고등학교 76만 8,000원 등 올해 대비 약 5% 수준 인상 및 무상교육 제외 고등학교에 재학 시 입학금 및 수업료, 교과서비 실비 지원구분’23년’24년’25년지원금액전년대비지원금액전년대비교육활동지원비초415,000461,000+46,000(+11.1%)487,000+26,000(+5.6%)중589,000654,000+65,000(+11.0%)679,000+25,000(+3.8%)고654,000727,000+73,000(+11.2%)768,000+41,000(+5.6%)교과서비고 해당 학년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된 교과목의 교과서 금액 전체입학금‧수업료고 연도별․급지별 학교장이 고지한 입학금·수..
2025년 생계급여 인상
ㅇ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맞춤형 급여체계로 전환된 2015년 이후 역대 최고 증가율로 결정 ㅇ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572만 9,913원 대비 6.42% 인상된 609만 7,773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를 포함한 전체 수급가구의 약 74%를 차지하는 1인 가구 기준으로는 올해 222만 8,445원 대비 7.34% 인상된 239만 2,013원으로 결정ㅇ 급여별 선정기준은 각각 기준 중위소득의 (생계) 32%, (의료) 40%, (주거) 48%, (교육) 50%로 올해와 동일하게 결정 가구원 수1인2인3인4인5인6인교육급여(중위 50%)’24년111만4,223184만1,305235만7,329286만4,957334만7,868380만9,185’25년119만 6,007196만 6,329251만 2..
2024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
2024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 표 (기준중위소득 75%,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70%, 180%) 및 직장, 지역, 혼합 가입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정리하였습니다.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 이란복지제도에서 대상자 기준을 정할 때 기준중위소득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복지 대상자 요건이 중위소득 100% 이하라면, 본인의 중위소득이 100% 이하인지 알기 위해서는 월급, 아파트, 자동차, 임대료 등 소득인정액 항목을 더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어렵게 느껴지시지 않나요? 그래서 간단하게 자신의 소득기준을 파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납부액만 알면 기준중위소득을 확인하는 방법 즉,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입니다. 우리나라의 건강보..